Tableau 실습 - 이중축, 축 범위 (파생상품 지표 활용 및 해석 part 1.)
도메인이 정해지면서 해당 도메인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활용해 작은 프로젝트들을 진행해보려고 한다.
우선, 앞으로 파생상품과 관련한 데이터들을 다룰 것이며 더 정확히는 장외파생상품이면 좋겠지만 장외는 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는 관계로 장내파생상품을 위주로 활용해보려고 한다.
지표들을 시각화해서 추세를 확인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오랜만에 태블로를 다운로드 받아보았다.
학생 때는 무료로 이용이 가능했지만 이제는 졸업했기 때문에 퍼블릭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가장 처음으로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파생상품 관련 데이터를 수집했다.
http://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3010502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데이터 구성은 아래와 같고,
주가지수는 코스피200선물, 미니코스피200선물, 코스닥150선물, 변동성지수선물 등 각각의 종목수, 거래량, 계약금액, 미결제약정 데이터가 있다.
금리는 3년국채선물, 5년국채선물, 7년국채선물, 10년국채선물 등 각각의 종목수, 거래량, 계약금액, 미결제약정 데이터가 있다.
* 미결제 약정 ( Open Interset )
파생상품 시장에서 아직 청산되지 않고 남아있는 계약의 총수를 의미
미결제 약정이 많다는 것은 시장에서 아직 정리되지 않은 계약이 많다는 것을 의미
→ 시장 참여자들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지 가늠할 수 있다.
미결제 약정이 급증하면 새로운 자금이 유입되어서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미결제 약정이 줄어든다면, 포지션이 청산되거나 자금이 빠지고 있다는 뜻일 수 있다.
어떤 정보를 얻겠다라고 정하기 보다는 우선 데이터를 자유롭게 배치 해보았다.
그러나 오랜만에 태블로를 만지다 보니 내가 원하는대로 그래프가 그려지지 않았다.
내가 원했던 그래프는 이런 형태였지만, 이중축을 설정하는 데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중축 설정
총 4개의 데이터 중에 2개는 이중축으로 묶이는데, 나머지 2개는 안 묶이고 계속 하나가 사라졌다....
도와줘 GPT .... !!
역시... 이제 GPT 없으면 어떻게 살어 .... ////
원하는 데이터들을 행에 배치한 뒤에 하나의 데이터를 우클릭하면 "이중 축"이 있다.
클릭하면 아주 간단하게 이중 축이 생성된다.
그 다음에 마주한 문제는, 선그래프를 앞으로 데려오고 싶은데 레이어 배치를 어떻게 바꾸는지 몰랐다.
이중 축을 설정한 행 부분에서 열심히 찾아봤지만 나오지 않았다.
또 다시 GPT한테 물어보니까 축 부분에서 우클릭을 하면 "맨 뒤로 마크 이동" 혹은 "맨 앞으로 마크 이동"이 나온다고 했다
그렇게 또 GPT의 도움을 받아서 해결 완료 !!
축 범위 설정
다음으로는 축 범위를 설정했다
대시보드로 제작할 때는 각 지표들의 축 범위가 모두 다르고, 그것들을 모두 표시한다면 굉장히 지저분할 것 같아서 최대한 통일 시켜보려고 했다
축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축 편집 창이 생성되고 "범위"에서 사용자 지정으로 자유롭게 설정했다.
대시보드 산출물
※ Insight
-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선물의 미결제약정이 12월 12일에 큰폭으로 감소한 뒤 이후 코스피200 선물은 일정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 & 코스닥150 선물은 일정 수준을 유지
→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 유입된 자금이 점차 많아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코스피/코스닥 선물은 12월 9일에 미결제 약정 급증 & 거래량 급증 & 큰 폭으로 지수 하락
→ 12월 7일에 탄핵소추안이 부결되고 블랙먼데이가 됨... 미결제 약정이 급증하면 새로운 자금이 유입되어서 단기간에 투자가 활발했다가 이후 급락
- 국채 선물은 12월 12일에 거래량 급증 & 지수 상승
→ 12월 둘째 목요일로 선물 및 옵션 거래 동시만기일이며 네 마녀의 날
* 네 마녀의 날: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개별 주식 선물과 옵션 등 네 가지 파생상품 만기일이 겹치는 날. 3 · 6 · 9 · 12월 둘째 목요일에 발생. 이날은 주가가 막판에 요동칠 때가 많아 "마녀(파생상품)가 심술을 부린다"는 뜻으로 "네 마녀의 날"이라 부르기도 함. [네이버 지식백과] 네마녀의 날 [quadruple witching day] (한경 경제용어사전) - 변동성지수 선물은 11월 29일에 큰 폭으로 증가.
→ 해당 기간 동안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가 안정되었음을 암시
파생상품 대시보드_250119
파생상품 대시보드_250119
public.tableau.com
아직은 너무너무 부족하지만, 매번 '해봐야지, 해봐야지'라며 생각만 했던 것을 실천으로 옮겼다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다음에는 파생상품 거래를 할 때 주요하게 보는 지표가 무엇인지, 대시보드 만들 때 유의미한 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효율적인 시각화 방법은 무엇일지를 고민해보면서 다시 다듬어 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