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의 큰그림
컴퓨터 구조는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와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다시 데이터와 명령어로 이루어져 있다.
"전원을 켜라"라고 할 때, "전원"이 데이터이며, "데이터를 켜라"가 명령어이다.
* 인코딩: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
* 디코딩: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에는 중앙처리장치(CPU), 주기억장치(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가 있다.
메인보드의 구조
메인보드 (혹은 마더보드)
: 부품들을 장착하는 토대가 되는 보드
시스템버스
: 핵심 부품 간 정보(데이터, 명령어) 이동은 모두 시스템 버스를 통함
입출력장치
: 마우스, 키보드, 모니터와 같이 입력 받고 출력 보여주는 장치들
주기억장치(메모리)
: 모든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메모리 내에 저장. 메모리는 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지면 사라짐
보조기억장치
: 당장 사용하지 않는 정보들을 저장. 비휘발성으로 전원이 거져도 사라지지 않음
중앙처리장치(CPU)
- ALU: 산술논리연산장치, 계산기 역할
- 레지스터: 작은 임시 저장 장치,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값 임시 저장
- 제어장치: 제어 신호 내보내고, 명령어 해석하는 장치
CPU 동작 원리
< 메모리 >
[1번] 더해라 3번과 4번을
[2번] 저장해라 결과를
[3번] 34
[4번] 20
[5번]
1. 제어장치에서 "1번 메모리 읽기"라는 제어 신호를 보냄
→ 제어 신호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서 주고 받으며 메모리에는 데이터와 명령어가 저장
≫ 시스템 버스가 메모리에서 "더해라 3번과 4번을"를 가지고 이동
2. 메모리 내의 정보를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 & 제어장치가 정보 해석해서 다음 동작 수행
≫ 시스템 버스가 레지스터에 "더해라 3번과 4번을"를 저장
≫ 제어장치로 가져가서 정보 해석
≫ 시스템 버스가 다시 메모리로 가서 3번과 4번을 읽음
3.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ALU에 보내 연산하고 레지스터에 저장
≫ 시스템 버스가 레지스터에 34와 20을 저장
≫ ALU에 보내서 34+20 연산을 수행
≫ 결과값 54를 다시 레지스터에 저장
4. 제어장치에서 "2번 메모리 읽기"라는 제어 신호를 보냄
≫ 시스템 버스가 메모리에서 "저장해라 결과를"를 가지고 이동
5. 메모리 내의 정보를 레지스터에 임시로 저장 & 제어장치가 정보 해석해서 다음 동작 수행
≫ 시스템 버스가 레지스터에 "저장해라 결과를"을 저장
≫ 제어장치로 가져가서 정보 해석
6. "저장된 결과를 5번 메모리에 저장"하라는 제어 신호를 보냄
≫ 시스템 버스가 결과값 54를 가지고 메모리로 이동해서 5번 메모리에 저장
'IT Study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 디바운싱과 쓰로틀링 (1) | 2023.11.22 |
---|---|
[CS] Stateful vs Stateless 차이 (0) | 2023.11.15 |
[Back] 계속 헷갈리는 토큰 vs 쿠키 vs 세션 (1) | 2023.11.14 |
[Back] CORS ERROR와 CORS 옵션 (1) | 2023.11.12 |
[CS] 운영체제_프로세스, 메모리 (Feat. Elice 11주차) (1) | 2023.11.05 |